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로그인
주요사이트
열기
곡성군청
문화관광
열린군수실
곡성군의회
읍·면 홈페이지
섬진강 기차마을
곡성교육포털
귀농귀촌센터
농특산물중개몰
곡성군계약정보공개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천문대소개
인사말
일반현황
시설안내
오시는길
주변관광지
천문대관람
관람안내
운영프로그램
천문대관람예약
천문자료실
천체관측기구
천체사진
천문 공부방
천문우주소식
별자리구성
알림마당
공지사항
천문대소식
행사 및 관람사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질문있어요
관람후기
곡성군 SNS 바로가기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곡성군청
문화관광
열린군수실
곡성군의회
읍·면 누리집
주요누리집
열기
섬진강기차마을
교육포털
귀농귀촌센터
농특산물중개몰
곡성군계약정보공개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열기
검색창 열기
통합검색
검색
통합검색 닫기
오늘의 날씨
천문대소개
인사말
일반현황
시설안내
오시는길
주변관광지
천문대관람
관람안내
운영프로그램
천문대관람예약
천문자료실
천체관측기구
천체사진
천문 공부방
천문우주소식
별자리구성
알림마당
공지사항
천문대소식
행사 및 관람사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질문있어요
관람후기
천문자료실
GOKSEONG COUNTY
천체관측기구
천체사진
천문 공부방
천문우주소식
별자리구성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천문우주소식
HOME
천문자료실
천문우주소식
SNS 공유 열기
Facebook으로 내보내기
Twitter로 내보내기
밴드로 내보내기
카카오스토리로 내보내기
SNS 공유 닫기
주소복사하기
인쇄하기
본문
무려 10만㎞ 높이, 태양서 솟구쳐 오르는 ‘플라스마 폭포’ 포착 [우주를 보다]
작성자
:
섬진강천문대
작성일
: 2023-04-14 12:35
조회수
: 610
한 천체 사진가가 태양 표면에서 솟구쳐나온 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떨어져 내리는 거대한 플라스마 폭포를 포착한 놀라운 사진을 찍었다. 아르헨티나의 라파엘라 근처에 거주하는 에두아르도 샤버거 푸포는 지난 3월 9일 특수 카메라 장비를 사용하여 이 인상적인 이미지를 촬영했다.
푸포는 스페이스웨더닷컴에 플라스마 벽이 “태양 표면 위로 약 10만㎞ 상승했다”고 밝혔다. 10만㎞라면 지구를 무려 8개나 포갠 어마어마한 높이다.
스페이스웨더닷컴에 따르면, 이 놀라운 현상은 극관 태양홍염(PCP:Polar Crown Prominence)이다. PCP는 자기장에 의해 태양 표면에서 방출되는 플라스마 루프, 곧 이온화된 가스인 정상적인 태양 홍염과 유사하다. 그러나 PCP는 북위와 남위 60도에서 70도 사이 태양의 자극 근처에서 발생한다.
미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극 근처의 자기장이 훨씬 강하기 때문에 종종 태양 홍염이 높이 치솟아올랐다가 다시 태양면을 향해 쏟아져내린다. 태양으로 되돌아가는 이 붕괴는 ‘플라스마 폭포’라는 별명을 얻었다.
PCP 내의 플라스마는 원래 그것을 방출한 자기장 내에 여전히 잠겨 있기 때문에 실제로 자유 낙하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NASA에 따르면 플라스마는 최대 시속 3만 6000㎞ 속도로 아래로 추락하는데, 전문가의 계산을 보면 자기장이 허용하는 한계 속도보다 훨씬 빠르다. 연구자들은 도대체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1년 국제 학술지인 ‘프런티어즈 인 피직스’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PCP는 분출하는 동안 플라스마가 천천히 위로 솟구치는 느린 단계와 플라스마가 최고 고도를 향해 가속되는 빠른 단계의 두 단계를 거친다. 이것이 플라스마가 표면으로 떨어지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태양 물리학자들은 태양 홍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행하고 있는데, 이는 코로나 질량 방출이나 또는 태양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져나와 지구에 충돌할 수 있는 거대한 자화 플라스마 기둥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이다. PCP는 태양의 자기장이 극지방의 플라스마 루프를 생성하는 데 특히 능숙한 것처럼 보여 핵 물리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연구자들이 실험용 핵융합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통찰력을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NASA에 따르면 PCP는 매우 일반적이며 거의 매일 발생할 수 있지만, 푸포가 잡은 것과 같은 현상의 이미지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많은 플라스마 관련 태양 현상과 마찬가지로 PCP 역시 태양 극대기로 알려진 11년 주기의 정점에 도달함에 따라 훨씬 더 빈번하고 강렬해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출처 :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412601013&wlog_tag3=naver
홍염.jpg
(114.3 KB)
다운로드 : 5
다운로드
미리보기(새 창)
삭제하기
해당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삭제하고자 하는 사유
를 입력해주세요.
사유 :
삭제하기
취소
닫기
목록
다음글
달이 지구 그림자 속으로...6일 ‘반영월식’ 볼 수 있는 걸까
이전글
다누리, 달 뒷면의 생생한 크레이터 영상 등 공개
곡성군청에서 제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관리
담당부서
관광과
담당자
강정혁
연락처
061-363-8528
최종수정일
2022-11-17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