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SEONG COUNTY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이 지역에서 발굴된 유물.유적들을 통해 볼 때 구석기시대에 사람들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며, 청동기시대부터는 農耕(농경)을 기반으로 하여 본격적인 마을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推定(추정) 됨.
果支縣(과지현)으로서 무진주(현재의 光州)에 속했고, 현재의 옥과면, 오산면, 겸면, 입면, 삼기면 일부를 관할한 독립된 행정 編制(편제)를 지니고 있었음. ※ 果支縣(과지현)을 果兮縣(과혜현) 또는 菓支縣(과지현)이라고도 함
757년(경덕왕16년) : 옥과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추성군(현재의 담양군)에 속하게 됨.
1413년(太宗13年) : 옥과현의 守令(수령)인 監務(감무)가 縣監(현감)으로 바뀜.※ 전라도는 左道(좌도)와 右道(우도)로 나눠지는데 옥과는 全羅左道(전라좌도)에 속함.※ 옥과현은 6면 102리임.(「호구총수」정조13년간 1789년 기준)
1908.10.15 : 옥과군이 폐지되고 창평군에 합해지면서 縣內面(현내면)이 玉山面(옥산면)으로, 입평<입석>면이 입면으로, 火石面(화석면)이 화면으로, 兼坊面(겸방면)이 겸면으로, 只佐谷面(지좌곡면)이 지면으로, 水大谷面(수대곡면)이 수면으로 바뀜.
1914.3.1 : 창평군에 속했던 옥산면. 수면. 입면. 겸면. 화면. 지면 중 지면은 겸면으로 통합 되고, 옥산면과 수면 은 옥과면으로 통폐합 되어 구 옥과군이 곡성군 관할면이 됨.
1983.2.15 : 옥과면 송전리(송전, 기동, 내동, 종방)는 입면으로, 겸면 황산리(황산, 보정)는 옥과면으로 행정구역이 바뀜.※ 행정구역 개편 후 옥과면의 현황.법정리 : 11개리. 행정리(자연마을) : 23개리. 반수 : 65반. 총인구수 : 4,508명.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