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날씨

곡성
소통

  • 페이스북
  • 유튜브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카카오톡

지명유래

본문

옥과면 지명유래

옥과 옥전 죽림 지동 리문 용두 무림동 설옥 지방 율사 금단 황산 보정 무창 신흥 금의 주산 배감 수리 신수 소룡 합강 광암
옥과1구 옥과(玉果)마을
옛 옥과현(玉果縣) 당시 읍소재지 마을이었다. 하동(荷洞), 하당리(下堂里), 갈산리(葛山里, 갈뫼), 옥전리(玉田里) 등이 합하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옥과리(玉果里)’라 개칭하였다.
옥과2구 옥전(玉田)마을
옛 옥과현(玉果縣) 당시 읍소재지 마을이었다. 하동(荷洞), 하당리(下堂里), 갈산리(葛山里), 옥전리(玉田里) 등이 합하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옥과리(玉果里)’라 개칭, 옥과2리 (玉果2里)로 분리되었다. 고려말에 이 지역에 죄인을 가두는 감옥(獄)이 있는 ‘옥 앞의 마을’이라 하여 ‘옥전(獄前)’이라 하다가 후에 ‘옥전(玉田)’으로 변경 옥전리(玉田里)라 칭하였다.
죽림1구 죽림(竹林)마을
원래 본 마을은 상당리(上堂里 : 별칭 大金里)란 마을과 죽림리(竹林里)란 두 마을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두 마을을 합하여 ‘죽림리(竹林里)’라 칭하게 되었다. 상당리(上堂里)는 현재의 마을회관 부근으로 웃동네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며, 대금리(大金里)의 ‘대금(大金)’이란 지명의 유래는 회관에서 300m 지점 북쪽 산(대금뫼)에 큰 금맥(金脈) 즉, 금(金)을 캤던 갱도(坑道)가 있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죽림리(竹林里)는 마을뒤 양지 바른곳에 대나무(竹)가 숲을 이루고 있다 하여 ‘죽림리(竹林里)’라 명명하였다. 또 다른 이름은 일명 ‘양지편(陽地便)’이라고도 불린다.
죽림2구 지동(智洞)마을
마을 형성 당시 지세로 보아 도(道)와 덕(德)이 출충될 형이라 ‘도덕촌(道德村)’으로 불러오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당시 ‘설산지하십리내(雪山之下十里內)에 동자(洞字)가 들어있는 마을이 피난지’라 하여 이 마을을‘지동(智洞)’으로 불러오게 되었다고 전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죽림2리(竹林2里)가 되었다.
리문1구 리문(里門)마을
리문리(里門里)는 과거 옥과현(玉果縣)의 치소(治所)로서 화순, 담양, 순창 등 세지역의 현감(縣監)들의 내왕(來往)이 빈번했던 옥과현 ‘마을(里)의 관문(關門)’이라는 뜻에서 ‘리문리(里門里)’라 불렀다 전한다.
리문2구 용두(龍頭)마을
마을뒤 산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가다가 끊기면서 옥과천(옛지명 : 仙脚川)이 흐르고 있어 ‘용(龍)의 머리(頭)가 꿈틀거리며 물로 들어간 형상’이라 하여 ‘용두촌(龍頭村)’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리문2리(里門2里)가 되었다.
리문3구 무림동(茂林洞)마을
‘무림동(茂林洞) 마을’은 숲(林)이 무성(茂)하게 우거져(느티나무) 있었기 때문에 ‘무림동’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원래 리문리는 리문리, 사장터 마을, 무림동 마을 등 3개 자연부락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무림동 마을이 지난 2005년 12월 1일 ‘무림동리’로 분리되면서 리문3리(里門3里)로 개칭되었다.
설옥1구 설옥(雪玉)마을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불러왔던 마을명은 설산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하여 ‘설산리(雪山里)’라 하였고 주위에 온통 나무만이 울창한 산중(山中) 마을이라고 하여 ‘나무골’또는 ‘목동(木洞)마을’로 혼용해 불러 왔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설옥리(雪玉里)’로 개칭하고 설옥1리(雪玉1里)가 되었다.
설옥2구 지방(地坊)마을
괘일산(掛日山) 남방계곡(南方溪谷)의 협소한 골짜기에 마을이 시냇물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나뉘어 조성되어 앞쪽은 ‘지방(地坊)’이라고 부르고, 개울건너 마을은 덕인(德人)이 배출될 곳이라 하여 ‘덕곡리(德谷里)’라 칭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설옥2리(雪玉2里)로 개칭되었다.
율사1구 율사(栗寺)마을
풍수지리(風水地理)설에 따라 마을 형태가 ‘밤알맹이(栗)’형국으로 마을뒤에 밤나무가 무성하였으며, ‘절(寺)’이 있어 ‘밤절골’ 또는 ‘밤정골’이라고 불러왔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율사리(栗寺里)’로 표기하여, 행정구역상 ‘율사1리(栗寺1里)’가 되었다.
율사2구 금단(金丹)마을
앞에는 황산(凰山)이 있고, 뒤에는 설산(雪山)이 있어 두 산의 정기를 받고, 앞 냇물은 황금이 있어 요산요수(樂山樂水)라 하여 터를 잡았다 전해온다. 그러나 큰 비만 오면 냇물이 범람하여 가옥과 전답이 침수되어 속칭 ‘수침동(水浸洞)’으로 명명되어 오산면(옛 火面)에 소속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옥과면(玉果面)에 편입되어 율사2리(栗寺2里)로 개칭되었다. 수침동은 한자로 ‘水砧洞’으로도 표기하고 있다. 도로의 아랫마을에 큰 물레방아(水砧)가 있었기 때문에 물레방아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수침동(水砧洞)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 후 윗마을이 생기면서 마을에 금(金)이 매장되어 있다 하여 금단동(金丹洞)또는 금단리(金丹里)로 칭해왔다고 전하고 있다.
황산1구 황산(凰山)마을
마을 뒷산이 ‘봉황이 알을 품고있는 형상’이라 하여 산이름을 황산(凰山)이라 하였고, 마을명 역시 황산(凰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전한다.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으로 겸면(兼面)에 속해 있다가 옥과면(玉果面)으로 편입되었다.
황산2구 보정(寶井)마을
전설에 의하면 두루미와 황새가 마을의 동쪽에서 북쪽으로 날아가다 앉아 쉬어 물을 마신 ‘샘’을 보고, 날아간 후 그 샘의 물맛이 좋고, 물의 색깔이 보석처럼 영롱하다 하여 샘 이름을 ‘보정(寶井)’이라 불렀으며, 따라서 마을명도 ‘보정리(寶井里)’라 칭했다. 행정구역이 겸면(兼面)에 속해있다가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으로 옥과면(玉果面)으로 편입했다.
무창1구 무창(武昌)마을
조선조때 경양도 찰방(景陽道察訪)에 딸린 대부역(大富驛)이 있어 무기와 병사를 많이 주둔시켰으며, 지형이 ‘궁(弓)형’이라 무(武)를 상징한다 하여 ‘무(武)를 장려하고 창성(昌盛)시킨다’는 뜻에서 ‘무창리(武昌里)’라 명명하였다 전한다.
무창2구 신흥(新興)마을
본 마을은 무창(武昌) 마을 인근에 새로 마을터를 잡으면서 새로 일어나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신흥리(新興里)라 불렀다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으로 무창2리(武昌2里)가 되었다.
무창3구 금의(錦衣)마을
약 300여년전 이 마을에 거주한 애당(艾堂)이라 호(號)를 부르는 사람이 과거에 급제하여 금의환향(錦衣還鄕)하게 됨으로 금의동(錦衣洞)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애당(艾堂)을 한자로 풀어 ‘쑥댕이’라고도 불러왔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行政區域改編)으로 무창3리(武昌3里)가 되었다.
주산1구 주산(舟山)마을
주산리(舟山里)는 동남북(東南北)쪽이 평야지대이며, 서쪽은 남북으로 뻗어있는 산이 있고, 마을 앞에는 큰 냇물이 흘러 풍수지리(風水地理)적으로 배(舟)형국이라 하여 주산리(舟山里)라 불렀다.
주산2구 배감(培甘)마을
감나무가 많아서 ‘배감(培甘)’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주산2리(舟山2里)라 개칭하였다.
수리1구 수리(水里)마을
옛 옥과현(玉果縣) 수면(水面)의 지역이다. 지역에 물이 많으므로 ‘물한실’마을앞을 흐르는 옥과천의 안쪽에 마을이 자리잡고 있다 하여 ‘물안실’ 그리고 ‘수대곡(水帶谷)’이라 불러왔다. 1908년 창평군(昌平郡) 수면(水面)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으로 마을명을 ‘수리(水里)’로 명명하였으며, 곡성군 옥과면(玉果面)에 편입되었다.
수리2구 신수(新水)마을
마을 뒷산 지형이 모래가 쌓인 산이라 하여 사봉(砂峰)이라 하여 마을의 이름을 ‘사터’또는 ‘새터’라 칭하다가 일제강점기 시기 초대 수면 면장인 김재순(金在舜)이 ‘마을앞에 많은 물(水)이 흐르는 새로운(新) 마을’이라 하여 ‘신수리(新水里)’라 명명했다. 일명 ‘조리터’라고도 부르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수리2리(水里2里)가 되었다.
소룡리 소룡(巢龍)마을
태고(太古)시절 이 지역이 바다였을 때, 용(龍)이 살던 ‘용(龍)의 집’이었다는 전설에 의해, ‘소룡리(巢龍里)’라 칭하게 되었다.
합강1구 합강(合江)마을
마을 뒤로 흐르는 섬진강(蟾津江)과 마을 앞으로 흐르는 옥과천(玉果川)이 합친다 하여 ‘합강(合江)’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사방이 산으로 쌓여 있어 일명 ‘도리산(道裡山)’이라고도 부른다.
합강2구 광암(廣岩)마을
마을주변 산 전역에 바위와 돌이 많이 있어서 마을형성 당시부터 ‘광암(廣岩)’으로 불리어졌다고 전해오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行政區域改編) 당시 합강2리(合江2里)로 개칭되었다.

콘텐츠관리

  • 담당부서 옥과면
  • 담당자 오혜성
  • 연락처 061-360-7815
  • 최종수정일 2024-01-29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