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로그인
주요사이트
열기
곡성군청
문화관광
열린군수실
곡성군의회
읍·면 홈페이지
섬진강 기차마을
곡성교육포털
귀농귀촌센터
농특산물중개몰
곡성군계약정보공개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천문대소개
인사말
일반현황
시설안내
오시는길
주변관광지
천문대관람
관람안내
운영프로그램
천문대관람예약
천문자료실
천체관측기구
천체사진
천문 공부방
천문우주소식
별자리구성
알림마당
공지사항
천문대소식
행사 및 관람사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질문있어요
관람후기
곡성군 SNS 바로가기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곡성군청
문화관광
열린군수실
곡성군의회
읍·면 누리집
주요누리집
열기
섬진강기차마을
교육포털
귀농귀촌센터
농특산물중개몰
곡성군계약정보공개
로그인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열기
검색창 열기
통합검색
검색
통합검색 닫기
오늘의 날씨
천문대소개
인사말
일반현황
시설안내
오시는길
주변관광지
천문대관람
관람안내
운영프로그램
천문대관람예약
천문자료실
천체관측기구
천체사진
천문 공부방
천문우주소식
별자리구성
알림마당
공지사항
천문대소식
행사 및 관람사진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질문있어요
관람후기
천문자료실
GOKSEONG COUNTY
천체관측기구
천체사진
천문 공부방
천문우주소식
별자리구성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천문우주소식
HOME
천문자료실
천문우주소식
SNS 공유 열기
Facebook으로 내보내기
Twitter로 내보내기
밴드로 내보내기
카카오스토리로 내보내기
SNS 공유 닫기
주소복사하기
인쇄하기
본문
목성을 가장 가까이 볼 기회…26일 59년 만에 최근접
작성자
:
섬진강천문대
작성일
: 2022-09-23 21:59
조회수
: 344
지난 10일 한가위 밤에 뜬 보름달은 지난 100년 중 가장 둥근 한가위 보름달이었다. 때마침 목성까지 바로 옆에서 빛나는 바람에 더 특별한 구경거리가 됐다. 목성이 평소보다 밝게 보였던 건 지구와의 거리가 그만큼 가까워졌기 때문이다.
그 목성이 이달 26일(세계 표준시 기준) 59년만에 지구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까지 다가온다.
한국천문연구원 박영식 선임연구원에 따르면 목성은 26일 오후 7시32분(세계표준시 기준, 한국시각은 27일 오전 4시32분) 지구에서 5억9130만540km 지점까지 접근한다. 지구에서 가장 멀 때(9억6500만km)보다 3억7천만km나 가까운 거리다.
지구와 목성이 이렇게 가까워지는 건 1963년 이후 처음이다. 그때와 올해의 거리가 똑같다.
목성과 지구는 지구를 사이에 두고 태양과 목성이 일직선으로 마주보고 있을 때 가장 가깝다. 이를 ‘충’이라고 부른다. 이런 현상은 목성의 경우 13개월마다 발생한다.
이때는 목성 전체가 온전하게 뜨기 때문에 다른 때보다 밝게 빛난다. 게다가 해가 진 뒤 동쪽에서 나타나 동트기 전 서쪽 하늘로 지기 때문에 밤새도록 볼 수 있다. 물론 밝다고는 해도 시직경은 불과 49.9각초다. 달의 각크기 0.5도(1800각초)의 100분의3 정도다.
지구와 목성의 공전 궤도는 완전한 원이 아니라 약간의 타원형이다. 따라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근일점)과 태양에서 가장 먼 지점(원일점)이 따로 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둘 다 현재 근일점(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을 향해 날아가고 있는 중이다.
공전 주기가 1년인 지구의 근일점은 2023년 1월4일, 공전 주기가 12년인 목성의 근일점은 2023년 1월20일이다. 근일점에서의 지구와 태양 거리는 1억4700만km, 목성과 태양 거리는 7억4천만km다.
지금처럼 근일점 근처에서 태양과 지구, 목성이 일직선을 이루는 ‘충’이 일어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1950년부터 2099년까지 150년간의 지구와 목성 사이에 일어나는 ‘충’ 일람표를 보면 1951년을 제외하고는 지금보다 지구와 목성이 가까웠던 때는 없다. 앞으로 2100년까지도 목성은 이렇게 가까이 오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이번 목성이 더 밝거나 더 크게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의미를 담아서 관측하기에는 이번 ‘충’이 더 없이 좋은 때인 것만은 틀림없다.
목성이 가까이 온 만큼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 처음으로 관측한 목성의 4대 위성도 함께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목성에서 가장 큰 위성군인 이들은 이오 , 유로파 , 가니메데 , 칼리스토로 몽뚱그려 ‘갈릴레이 위성’이라고 부른다. 이들 위성은 지구와 태양을 제외한 다른 천체를 도는 위성으로는 처음 발견된 것들이다. 이오와 유로파는 크기가 달과 비슷하다.
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책임연구원은 “웬만한 쌍안경으로도 목성 옆의 위성까지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갈릴레이가 4대 위성을 발견할 때 사용한 망원경은 20배 배율이었다.
26일 밤 하늘에서 목성의 4대 위성을 보게 된다면 400년 전 갈릴레이의 관점을 그대로 재현하는 셈이다. 목성의 위성은 80개로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이름이 붙여진 것은 53개다. 갈릴레이 위성 4개는 목성의 양쪽에서 밝은 점으로 볼 수 있다.
물론 꼭 26일이 아니더라도 전후 며칠 동안은 밝은 목성을 볼 수 있다.
현재 목성에서는 나사의 우주탐사선 주노가 6년째 목성 궤도를 돌고 있다. 주노는 오는 29일 목성의 얼음 위성 유로파에서 350km 떨어진 지점까지 접근한다. 2011년 지구를 출발해 2016년 목성에 도착해 목성과 위성을 탐사하고 있는 주노는 2025년까지 활동기간이 연장된 상태다.
과학자들은 유로파의 얼음 아래 쪽에 액체 상태의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나사는 2024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목성의 얼음 위성 유로파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를 보낼 계획이다. 이 탐사선은 6년을 날아 2030년 유로파에 도착한다.
출처 : 곽노필 선임기자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059846.html
목성.jpg
(45.4 KB)
다운로드 : 4
다운로드
미리보기(새 창)
삭제하기
해당 게시물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삭제하고자 하는 사유
를 입력해주세요.
사유 :
삭제하기
취소
닫기
목록
다음글
50년 만에 다시 달로,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성공
이전글
태양계 끝에 있는 해왕성의 고리, 30년 만에 포착 [우주로 간다]
곡성군청에서 제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관리
담당부서
관광과
담당자
강정혁
연락처
061-363-8528
최종수정일
2022-11-17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